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ss애니메이션효과
- 달콤한바느질
- sublimetextgit연동
- 서브라임+git
- 서브라임git연동하는 방법
- 해시스크롤이동
- 애니메니션효과
- 텍스트추출
- 아기옷
- 아이프레임유튜브썸네일
- css효과
- 스크롤하단
- 아이프레임유튜브썸네일변경
- 앵커이동
- youtubeiframethumbnail
- 서브라임git
- css3예제
- 하단스크롤
- PC에서텍스트추출
- scroll이동
- 이미지텍스트변환
- 하단fixed
- 연동하는방법
- youtubethumbnail
- sublime+git
- 이미지텍스트추출
- css3 animate
- 특정위치고정
- 아이옷
- 하단특정위치
- Today
- Total
목록IT정보/웹표준_웹접근성 (6)
개인공간
속성값에 따른 접근성 테스트는 아이폰 환경에서 해보았으며, 3가지 aria-labelledby="dialog1Title" aria-describedby="dialog1Desc" aria-haspopup="dialog"의 속성을 넣었을때 레이어팝업을 띄우려고 하는 버튼에 읽는 순서이다. 버튼을 클릭하거나 컨트롤 하지 않더라도 버튼만으로 어떤 버튼인지를 명시 해 줄 수 있는 기능 이다. aria-labelledby="dialog1Title" id와 매칭해서 쓰게 되며 제일 먼저 읽어 준다. aria-describedby="dialog1Desc" id와 매칭해서 타이틀 제목 매칭된 내용을 읽고 읽어 준다. aria-haspopup="dialog" 이 속성이 있는경우 레이어팝업을 만들어서 사용하는경우 tabin..
자주 사용하는 원표시는 유니코드로 써야한다. \ - ₩
모바일 웹 바탕화면 아이콘 추가 모바일 웹 Input type 속성 - 기본적인 모바일 키보드가 제공됩니다. - 기본적인 모바일 키보드가 제공됩니다. - 기본적인 모바일 키보드 + @ / . 제공됩니다. - 기본적인 숫자 모바일 키보드가 제공됩니다. - 기본적인 모바일 키보드 + / + . + .com 이 제공됩니다 . - 기본적인 숫자 모바일 키보드가 제공됩니다 go 부분이 Search로 변경됩니다 모바일 웹 href 태그 속성들 - 전화걸기 : 전화번호 - 문자보내기 : 문자보내기 - 문자보내기 실행 : 문자보내기 - 메일보내기 : 메일보내기 - 메일보내기 실행 : 메일보내기 - 내용 채워서 메일 보내기
정의목록() 올바르게 쓰고 계신가요?nate의 화면을 보다가 의문이 들었다. dl dt dd로만 쓸수 있는줄 알았는데~ 저렇게 바꿔 써도 되나? 왠지 될꺼 같기는한데 확실히 몰라서 찾아보았다.DTD 명세(http://www.w3.org/TR/1999/REC-html401-19991224/struct /lists.html#edef-DD) 에 따르면, DL(Definition lists)은 DT(definition term), DD(definition description)와 함께 쓰인다.DT, DD의 순서에 상관이 없다.DT에는 인라인요소만 갖을 수 있다,DD에는 블록요소와 인라인요소 모두 갖을 수 있다.DT와 DD중 하나만 있어도 된다.DT와 DD는 여는 태그는 필요하지만 닫는 태그는 생략해도 상관없다 ..
파이어폭스에서 반응형 웹디자인 보려면(부가기능설치후)도구 > web developer Extenslon >resize > view Responsive Layouts 크롬에서 반응형 웹디자인 보려면(부가기능 설치후) web developer > resize > view Responsive Layouts
Responsive web design 현한가지 웹페이지로 여러 Device (모바일, 태블릿, 데스크탑 등..) 장치로 접근이 가능한 반응형 웹디자인 입니다. 화면 너비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는 유동형 레이아웃(fluid layout)과 유연한 이미지(flexible image), 그리고 미디어 쿼리(media queries)가 어우러져서 특정 환경에 '최적화'된 방법이 아니라 환경에 반응하여 스스로 적응하는 방법 미디어 쿼리는 css3 속성으로서 지원되는 브라우저는 IE9, 파이어폭스, 오페라, 사파리, 크롬플러스 에서 사용됩니다. IE8 이하 버전에서는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미디어쿼리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 미디어쿼리는 사용자의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css 속성, CSS2 에서는 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