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서브라임git
- 텍스트추출
- 이미지텍스트추출
- 연동하는방법
- youtubeiframethumbnail
- 달콤한바느질
- 서브라임git연동하는 방법
- PC에서텍스트추출
- 해시스크롤이동
- css애니메이션효과
- 앵커이동
- youtubethumbnail
- css3예제
- 아이프레임유튜브썸네일
- 이미지텍스트변환
- 스크롤하단
- css효과
- 특정위치고정
- sublime+git
- 아이옷
- scroll이동
- 아이프레임유튜브썸네일변경
- 하단스크롤
- 애니메니션효과
- 하단특정위치
- css3 animate
- sublimetextgit연동
- 서브라임+git
- 하단fixed
- 아기옷
Archives
- Today
- Total
개인공간
[CSS3] @font-face 적용하기 본문
반응형
1. 웹폰트 호환성
@font-face로 웹폰트를 쓸때 가장 유의해야 할 것이 브라우저간의 호환성이다.
IE |
Chrome |
Firefox |
Opera |
safari |
|
WOFF |
9.0부터 지원 |
6.0 |
3.5 |
11.10 |
5.1 |
EOT |
IE6~IE9 |
미지원 |
미지원 |
미지원 |
미지원 |
보는 바와 같이 modern-browser들은 woff 파일을 모두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무리가 없다.
언제나 문제인 것이 구버전의 IE의 경우인데 IE8 이하의 브라우저들은 eot 파일을 사용해야 한다.
고로, IE 구버전들을 위한 eot 파일과 woff 파일 두가지를 준비해야 한다.
사실 IE를 제외한 다른 브라우저들은 ttf 파일도 지원하지만 이는 압축되지 않은 타입으로 웹에서 사용하긴 무리이니 생략한다.
웹폰트는 저작권 문제도 포함하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네이버에서 무료로 배포하는 나눔글꼴시리즈를 많이 사용한다.
2. 폰트 포맷 만들기 (http://onlinefontconverter.com/)
여러 사이트가 있는데 모든 포맷을 지원해주지 않거나 용량제한을 걸어두거나 아니면 일일히 변환 프로그램으로 해줘야했죠.
그런데 몇 일전 구글링을 통해서 온라인으로 폰트 포맷을 변경해주는 사이트를 발견했어요.
회원가입 없이도 폰트 포맷을 만들 수 있으니 대박이죠.
- 바꿀 파일 선택하기
- 바꾸고 싶은 파일명 각각 선택하기
- 선택을 하면 다운로드 파일로 업로딩을 하게된다.
- 다운로드 파일이 생긴다. 클릭하면 다운로드가 된다.
- 다운로드 완료!!
3. 문법
@font-face { font-family: <a-remote-font-name>; src: <source> [,<source>]*; [font-weight: <weight>]; [font-style: <style>]; }
- 속성값(Values)
- <a-remote-font-name>
- font 속성에서 폰트명(font face)으로 지정될 이름을 설정한다.
- <source>
- 원격 폰트(remote font) 파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URL 값을 지정하거나,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된 폰트명을 local("Font Name")형식으로 지정하는 속성이다.
- <weight>
- 폰트의 굵기(font weight) 값.
- <style>
- 폰트 스타일(font style) 값.
사용자의 로컬환경(local computer)에 설치된 폰트는 local() 이라는 구문을 사용하여 지정이 가능하다. 만약 해당 폰트를 찾지못한다면, 다른 대체 폰트를 찾을때까지 폰트를 검색작업을 계속 할 것이다.
- 추천하는 방법
@font-face{ font-family:ng; src:url(NanumGothic.eot); src:local(※), url(NanumGothic.woff) format(‘woff’) } body{font-family:'나눔고딕', 'NanumGothic', ng}
- ng(이름은 원하는데로 작성가능)라는 글꼴 이름을 한 번만 선언한 다음 eot 형식과 woff 형식을 순차적으로 참조.
- IE 6~8은 eot 글꼴만 요청해서 화면에 표시한다.(eot 형식을 woff 형식보다 먼저 참조)
- IE 9와 Chrome, Firefox, Safari, Opera는 woff 글꼴만 요청해서 화면에 표시(@font-face 명세에 의해 eot 글꼴에 대한 format('eot') 선언이 없기 때문에 브라우저가 eot 글꼴을 내려받아야 하지만 영리하게도 내려받지 않는다.
- local(※) 값은 외부 자원을 참조하기 이전에 시스템에 설치된 글꼴을 우선 참조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그러나 이코드에서는 IE6~IE8이 local() 값을 처리하지 못하는 특징을 이용하여 woff 글꼴을 추가로 요청하지 않도록 해준다.
- local(※) 값의 괄호 안쪽에 포함된 ※ 기호는 사용자 시스템에 존재하지 않을만한 글꼴을 임의로 지정한 것. 굳이 2byte짜리 특수문자를 사용한 이유는 Mac OS에서 2byte짜리 문자열로 된 시스템 글꼴 이름은 아예 처리하지 않기 때문이다.
- format(‘woff’) 값을 명시적으로 작성하면 이 형식을 지원하는 브라우저만 글꼴을 내려받게 되어 있다. 값은 반드시 홀따옴표 또는 쌍따옴표 안에 있어야 하며 작성하지 않는 경우 지원 여부에 무관하게 모든 형식의 글꼴을 내려받는것이 명세이다. 글꼴을 지원하지 않으면서도 내려받는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이형식을 지원하는 경우에만 외부글꼴을 내려받도록 명시적으로 코드를 작성한 것이다. IE 7~8 브라우저는 이 코드를 해석하지 못하기 때문에 woff글꼴을 추가로 요청하지 않도록 만들지만 여기서 그것이 목적은 아니다.
- 나눔고딕 시스템 글꼴의 이름을 한글과 영문으로 연거푸 두 번 적은 이유는 영문으로만 작성했을 때 제대로 표시하지 못하는 브라우저가 있기 때문이며 한글 이름이 있는 글꼴은 한글과 영문 모두 작성하는 것이 좋다.
반응형
'IT정보 > CSS_CSS3'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3] step구성 (0) | 2014.01.21 |
---|---|
[CSS3] 모바일 작업시 사용한 방식 (0) | 2014.01.21 |
[CSS3] resize (0) | 2012.12.03 |
[CSS] 가로세로 비율을 유지하는 반응형 박스 (0) | 2012.11.19 |
[CSS3] CSS3 Transitions (0) | 2012.11.18 |